초, 중, 고등학교와 달리 이미 대학은 교수 및 학생들의 스마트기기의 사용/활용도가 높아 일찍부터 무선WiFi 의 수요가 급증하였고 최신 무선AP로 지속적인 대체 또는 추가하는 한편 인터넷 접속 회선의 속도도 증가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무엇보다도 유선접속 속도의 증가는 물론 무선 접속 속도의 증가를 위해 최신 무선AP를 도입하였으며 캠퍼스 내 무선WiFi의 음영지역이 없도록 무선AP를 충분히 설치, 운용하는 방향으로 진행 중입니다.
대학에서 주된 사용 서비스를 분석하면 첫째, 학생들의 인터넷 강의 시청을 위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강의 동영상 자료의 다운로드, 인터넷 검색 등의 학습 관련된 traffic 뿐만 아니라 SNS, 채팅 등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합니다. 둘째, 학사관리 시스템 접속을 통해 수강신청, 과제 제출, 강의자료 다운로드 등과 출결시스템의 연동을 통해서 출석체크 등 무선통신에 대한 사용이 빈번합니다. 셋째, 휴식/야간시간 등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 YouTube 시청/동영상 upload, 방송채널 시청 등 개인 관심사에 대한 활동을 활발하게 합니다.
UBT(Ubiquitous Based Test) SmartAir AP 적용
UBT는 SBT(Smart-device Based Test)라고도 불려지며 기존 종이 시험지/답안지를 가지고 시험을 치르는 것을 탈피하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시험을 치르는 방식으로 국내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등 보건의료 국가면허에 도입 활용하고 있습니다. 기존 시험에 비해 테블릿PC를 통해 문제를 제시하기 때문에 기존에 불가능했던 환자의 환부 사진, 수술 영상, 방사선 촬영사진 등 멀티미디어를 수험생에 제시가 가능하여 무엇보다도 정확한 출제의도와 요구되는 답을 파악할 수 있으며 내부 폐쇄망내 서버를 설치하여 출제문항 컨텐츠와 선택답안의 수험생별 수집, 채점 등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보안성과 안정성이 뛰어납니다.
이와 같은 UBT 서비스에 SmartAir AP가 스마트 기기을 무선접속을 제공하여 다수의 기기에서 동시에 시험이 진행될 수 있도록 안정적인 무선 infra를 제공합니다.
위성/무선WiFi 를 이용한 2개 대학에 인터넷 서비스 제공
해외 통신인프라가 열악한 곳에 위치한 2개 대학에 무선AP와 무선 Bridge 기능을 통해 학생들이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1개의 대학은 2개 캠퍼스가 2km 정도 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캠퍼스간 무선 bridge로 연결하고 2개 대학에 무선 단말 접속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SmartAir AP는 1대의 SmartAir controller에서 관리됩니다. 국내 도서/격오지/무선Backhaul 서비스와 해외 통신인프라가 없는 곳에서 이와 같은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합니다.